“갑작스러운 위기로 생계가 어려워졌다면?”
실직, 폐업, 질병 등으로 소득이 끊겼을 때, 당장 생활비가 없다면?
국가 긴급복지를 받을 수 없다면, 서울형 긴급복지를 받을 수 있을까?
2025년부터 지원 기준이 완화되면서 더 많은 시민이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 나는 해당될까?
서울시는 긴급한 위기 상황에 놓인 저소득층을 빠르게 지원하기 위해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기준을 완화하고, 지원 금액을 인상했다.
이제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생계급여도 인상된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형 긴급복지의 변경 사항과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지원금 지급 기준까지 상세히 정리했다.
위기 상황에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꼭 필요한 지원을 놓치지 말자.
1. 서울형 긴급복지란?
서울형 긴급복지는 실직, 폐업, 질병 등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으로 생계유지가 어려운 저소득층을 신속하게 지원하는 복지제도다.
기존 국가형 긴급복지보다 지원 대상이 넓고, 재산 기준도 완화되어 더 많은 위기가구가 지원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서울형 긴급복지 vs. 국가형 긴급복지 비교
구분 | 국가형 긴급복지 | 서울형 긴급복지 |
---|---|---|
지원대상 |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재산 기준 | 3억 1천만 원 이하 (금융재산 600만 원 이하) | 4억 900만 원 이하 (금융재산 1천만 원 이하) |
지원금액 | 4인 가구 생계급여 187만 원 | 4인 가구 생계급여 187만 2천 원 |
지원 횟수 | 1회 원칙 (일부 항목 재지원 가능) | 최대 3회 지원 가능 (고독사 위험가구) |
국가형 긴급복지보다 소득 기준과 재산 기준이 더 완화되어, 지원받을 수 있는 가구가 많아진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 서울형 긴급복지 신청하기2. 2025년 서울형 긴급복지 주요 변경 사항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소득 기준 완화
생계급여 지원금 인상
고독사 위험 가구 최대 3회 지원 가능
2025년 가구별 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가구 규모 | 2024년 기준 (원) | 2025년 기준 (원) | 증가율 |
---|---|---|---|
1인 가구 | 2,228,445 | 2,392,013 | 7.34% 증가 |
2인 가구 | 3,682,609 | 3,932,658 | 6.79% 증가 |
3인 가구 | 4,714,657 | 5,025,353 | 6.59% 증가 |
4인 가구 | 5,729,913 | 6,097,773 | 6.42% 증가 |
5인 가구 | 6,695,735 | 7,108,192 | 6.16% 증가 |
6인 가구 | 7,618,369 | 8,064,805 | 5.86% 증가 |
중위소득 인상으로 인해 더 많은 가구가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3. 지원금 인상 (생계, 의료, 주거 지원 확대)
2025년 가구별 생계 지원금
가구 규모 | 2024년 지원금 (원) | 2025년 지원금 (원) | 증가율 |
---|---|---|---|
1인 가구 | 713,100 | 730,500 | 2.44% 증가 |
2인 가구 | 1,178,400 | 1,205,000 | 2.26% 증가 |
3인 가구 | 1,508,600 | 1,541,700 | 2.19% 증가 |
4인 가구 | 1,833,500 | 1,872,700 | 2.14% 증가 |
5인 가구 | 2,142,600 | 2,186,500 | 2.05% 증가 |
6인 가구 | 2,437,800 | 2,485,400 | 1.95% 증가 |
👉 서울형 긴급복지 신청하기
4. 서울형 긴급복지 신청 방법
- 신청 가능 대상: 본인 또는 위기 가구 발견 시 누구나 신청 가능
- 신청 방법:
- 거주지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
- 120 다산콜센터 전화 신청
긴급한 상황에서는 ‘담당자 선지원 제도’를 통해 우선 지원 후 사후 승인 가능
소득·재산 기준 초과 시에도 ‘특별지원제도’를 통해 예외 지원 가능
5. Q&A (자주 묻는 질문)
Q1. 서울형 긴급복지는 누구나 신청할 수 있나요?
A: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본인이 직접 신청하거나 이웃이 대신 신청할 수도 있다.
Q2. 지원금을 몇 번까지 받을 수 있나요?
A:
- 기본적으로 연 1회 지원 원칙
- 다른 위기사유 발생 시 1회 추가 지원 가능
- 고독사 위험가구는 최대 3회까지 생계지원 가능
Q3. 긴급한 경우 바로 지원받을 수 있나요?
A: 긴급한 상황에서는 ‘담당자 선지원 제도’를 통해 즉시 지원 후 사후 승인이 가능하다.
Q4. 국가형 긴급복지를 받은 경우에도 서울형 긴급복지를 받을 수 있나요?
A: 국가형 긴급복지 지원이 종료된 후에도 위기 상황이 지속된다면 연 1회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가능
Q5. 신청은 어디에서 하나요?
A:
거주지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
120 다산콜센터 전화 신청
6. 2025년 서울형 긴급복지, 더 많은 시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중위소득 기준 완화로 더 많은 가구 지원 가능
생계 지원금 인상으로 실질적인 혜택 증가
고독사 위험가구 최대 3회 지원 가능
위기 상황에 놓인 가구라면, 서울형 긴급복지를 적극 활용하자!
지금 바로 거주지 동주민센터 또는 120 다산콜센터에 문의해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