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청년 월세 지원사업이 연장되면서 보다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기준이 조정되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지원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자신의 자격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령, 소득, 재산 기준을 중심으로 청년 월세 지원 자격을 상세히 분석해드립니다.
1. 청년 월세 지원자격 개요
정부는 주거비 부담이 큰 청년들에게 최대 24개월간 월 최대 20만 원의 월세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하지만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연령, 소득, 재산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2025년 주요 변경 사항
구분 | 2024년 기준 | 2025년 변경 사항 |
---|---|---|
지원 기간 | 최대 12개월 | 최대 24개월(확대) |
소득 기준 | 중위소득 60% 이하 | 중위소득 70% 이하로 완화 |
재산 기준 | 1억 5천만 원 이하 | 동일 |
2. 연령 기준
청년 월세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연령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신청일 기준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 청년
- 출생연도 기준: 1990년~2006년 출생자
- 만 35세 이상이라도 신청 시점 기준으로 만 34세라면 신청 가능
3. 소득 기준
2025년부터 소득 기준이 완화되어 보다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청년 본인 소득 기준
-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
- 소득이 없는 경우도 신청 가능
부모 소득 기준 (부모와 별도로 거주하는 경우)
- 부모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여야 함
2025년 소득 기준표 (단위: 원)
가구원 수 | 중위소득 70% ( 청년 기준 ) | 중위소득 100% ( 부모 기준 ) |
---|---|---|
1인 가구 | 1,576,000 | 2,252,000 |
2인 가구 | 2,652,000 | 3,788,000 |
3인 가구 | 3,412,000 | 4,874,000 |
4인 가구 | 4,162,000 | 5,946,000 |
4. 재산 기준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 기준도 충족해야 지원이 가능합니다.
- 청년 본인 재산: 1억 5천만 원 이하
- 부모 재산 (부모와 별도로 거주하는 경우 적용): 3억 원 이하
- 자동차, 금융 자산 포함 여부는 지자체별 규정에 따름
👉 청년 월세 지원금 알아보기
5. 중복 지원 제한
청년 월세 지원금은 특정 주거 지원 정책과 중복 지원이 제한됩니다.
중복 지원 불가
- 부모급여 수급자
- 주거급여 수급자 (이미 정부 지원을 받고 있는 경우)
중복 지원 가능
- 청년 전세보증금 대출 이용자
- 국가장학금 수급자
6. 신청 시 유의할 점
- 신청 전에 본인 및 부모 소득·재산 정보를 미리 확인해야 함
- 임대차 계약서는 청년 명의여야 함 (부모 명의 불가)
- 부모 소득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 가족관계증명서 제출 필수
2025년 청년 월세 지원금은 연령 기준, 소득 기준이 완화되어 보다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복 지원 제한 및 서류 준비를 철저히 해야 신청이 원활하게 진행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지원 금액 및 지급 방식을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추가 정보가 필요하면 보건복지 상담센터(☎129) 또는 주민센터에 문의하세요!
👉 2025 민생안정지원금 신청가능지역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