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월세 지원금 외에도 각 지자체에서 추가로 지원하는 월세 보조금 및 주거 지원 정책이 있습니다. 지역별로 상이한 지원 내용을 확인하고, 자신에게 맞는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신청하세요.
👉 2025 민생안정지원금 신청가능지역 확인하기1. 서울특별시 청년 월세 지원
서울시는 중앙정부의 청년 월세 지원과 별도로 청년 월세 지원금 및 전·월세 보증금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원 내용
- 월세 지원: 월 최대 40만 원 (최대 10개월)
- 전·월세 보증금 대출 이자 지원: 최대 4,500만 원, 연 1~2% 이자 지원
신청 조건
- 만 19~39세 청년
- 소득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서울시 내 거주하는 무주택자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서울주거포털(https://housing.seoul.go.kr)
- 오프라인 접수: 서울시 관할 구청 방문 신청
👉 청년 월세 지원금 알아보기
2. 경기도 청년 월세 지원
경기도는 월세 부담이 높은 청년들을 대상으로 최대 1년간 월 20만 원의 추가 지원금을 제공합니다.
지원 내용
- 월세 지원: 월 최대 20만 원 (최대 12개월 지원)
- 전·월세 대출 지원 프로그램 운영
신청 조건
- 만 19~34세 청년
- 경기도 내 거주하는 무주택자
- 중위소득 120% 이하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경기도 청년포털(https://youth.gg.go.kr)
- 오프라인 접수: 거주지 시·군청 방문 신청
3. 부산광역시 청년 월세 지원
부산시는 청년 맞춤형 주거 지원을 통해 월세 지원과 전세대출 이자 지원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지원 내용
- 월세 지원: 월 최대 30만 원 (최대 12개월)
- 전세자금 대출 이자 지원: 최대 1억 원, 연 1.5% 이자 지원
신청 조건
- 만 19~39세 청년
- 부산시 내 거주하는 무주택자
- 중위소득 140% 이하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부산시 주거복지센터(https://www.busan.go.kr/welfare)
- 오프라인 접수: 부산시 관할 구청 방문 신청
👉 2025 민생안정지원금 신청가능지역 확인하기
4. 대구광역시 청년 월세 지원
대구시는 대학생 및 취업 준비생을 대상으로 주거비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지원 내용
- 월세 지원: 월 최대 15만 원 (최대 12개월 지원)
- 청년 기숙사 입주 지원 프로그램 운영
신청 조건
- 만 19~34세 청년
- 대구 내 거주하는 무주택자
- 중위소득 100% 이하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대구광역시 청년정책포털(https://youth.daegu.go.kr)
- 오프라인 접수: 대구시 주민센터 방문 신청
5. 기타 지역 청년 월세 지원
각 지역별 추가 지원 정책이 다르므로 거주 지역의 시·군·구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추가 지원금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역별 추가 지원 확인 방법
- 해당 지자체 공식 홈페이지 방문
- “청년 월세 지원” 또는 “청년 주거 지원” 검색
- 지원 신청 기간 및 대상 확인 후 신청
청년 월세 지원사업 외에도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추가 지원금을 함께 신청하면 더 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추가 지원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신청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청년 월세 지원사업 FAQ & 자주 묻는 질문 정리를 다룰 예정입니다.
더 궁금한 사항은 보건복지 상담센터(☎129) 또는 거주지 주민센터를 통해 확인하세요!